-
"연체율 6년 만에 최고치"... 빚 못 갚는 사장님들, 왜 이렇게 많아졌을까?카테고리 없음 2025. 4. 25. 11:48반응형
2025년 2월 기준 은행 연체율이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특히 개인사업자와 중소기업 연체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. 이유는 무엇이고, 앞으로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요?
📊 은행권 연체율 '0.58%'... 2018년 이후 최고 수준
2025년 2월 기준 국내 은행들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**0.58%**로 집계됐습니다.
이 수치는 2018년 11월 이후 6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.- 📈 전월 대비 상승폭: +0.05%p
- 📌 신규 연체 발생액: 2조9000억 원
- 📌 연체채권 정리액: 1조8000억 원
금융감독원은 **"신규 연체는 줄었지만, 채권 정리량이 그 이상으로 늘어나며 연체율이 상승했다"**고 밝혔습니다.
🏪 연체율 상승, 특히 ‘사장님들’에게 집중
연체율 상승을 주도한 것은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 대출입니다.
구분 연체율(%) 전월 대비 변화 대기업 대출 0.10% ▲0.05%p 중소기업 대출 0.84% ▲0.07%p ▸ 중소법인 0.90% ▲0.08%p ▸ 개인사업자 0.76% ▲0.06%p 특히 개인사업자와 중소법인 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주목해야 합니다.
🏠 가계대출은 비교적 안정세
가계대출 쪽은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.
- 주택담보대출 연체율: 0.29% (전월 수준 유지)
-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 연체율: 0.89% (▲0.05%p)
주택담보대출은 비교적 안정적이지만, 신용대출 쪽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
❗ 왜 이렇게 연체율이 오르나?
최근 연체율 상승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소비 위축과 매출 부진
- 고금리 지속 → 소비 둔화
- 중소사업자는 매출 회복 어려움
- 이자 상환 부담 증가
- 금리 인하 기대에도 아직 실질적 부담은 큼
- 다중채무자 비율 증가
- 건설·투자 경기 부진
- 설비투자, 건설투자 모두 마이너스
- 관련 업체 대출 상환 지연
🔎 금융당국, 어떤 대응?
금융감독원은 다음과 같은 대책을 내놨습니다:
- 은행에 손실흡수능력 강화 요구
- 연체 채권 적극 매각 및 정리
- 신용위험 확대에 선제적 대응 요청
👉 중소기업·자영업자는 연체 방지와 유동성 확보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습니다.
✅ 블로그 요약
내용 요약 📌 연체율 0.58%, 6년 만의 최고치 📉 주 원인 중소기업·자영업자 연체 증가 💡 영향 대출금 상환 부담 증가, 금융시장 불안 우려 ⚠️ 당부 부채 구조 조정, 상환 계획 사전 점검 필수
💬 마무리 한 마디
“사장님들, 지금은 '버티는 힘'이 중요한 시기입니다.
은행권 연체율이 오른다는 건 위기의 시그널입니다.
비상금 확보, 대출 리스크 점검, 정부 지원 정책 활용까지
지금 바로 '리스크 관리'에 나서야 할 때입니다.”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