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초밥 수요에 쌀값 두 배?…일본 쌀 대란에 한국산 쌀 수출까지 등장
    카테고리 없음 2025. 4. 21. 23:06
    반응형

    일본의 쌀값이 1년 만에 두 배 가까이 급등하며 한국산 쌀이 35년 만에 수출됐다. 과잉 생산으로 고민인 한국과 공급 부족에 흔들리는 일본, 그 현주소를 정리했다.

    🍙 초밥 수요 폭발?

    쌀 대란에 흔들리는 일본, 한국 쌀 수출은 이어질까


    일본 쌀값, 왜 갑자기 올랐을까?

    일본 내 쌀값이 1년 새 두 배 가까이 급등했다.
    그 배경에는 흉작, 사재기, 그리고 정부의 늦장 대응이 겹쳐 있었다.

    🔍 원인 요약

    원인 내용
    🌡️ 이상기후 작황 부진 → 2023년 생산량 전년比 9만t 감소
    🧺 사재기 지진 경고 + 공급 불안 → 소비자·유통업체 매점매석
    🕰️ 늦은 대응 정부 비축미 방출 지연 → 3월에야 21만t 공급

    결과적으로 2024~2025년 일본 쌀값은 폭등했고,
   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초밥·오니기리 수요도 함께 폭증하면서 상승세를 부추겼다.


    한국 쌀, 35년 만에 일본으로 수출

    한국은 반대로 쌀이 남아도는 상황이다.
    2023년 기준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은 152.9g, 즉 즉석밥 한 공기보다 적은 수준.
   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산 쌀이 일본으로 수출됐다.

    📦 수출 개요

    • 4월 8일: 전남 해남산 쌀 2t, 일본 도쿄 통관 완료
    • 4월 10일~: 신오쿠보 슈퍼, 농협 온라인몰 등에서 판매
    • 5월 중순: 추가 10t 공급 예정

    🍚 한국 쌀, 계속 수출될 수 있을까?

    현재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쌀 10kg당 약 9만 원
    일본산 쌀보다 가격 경쟁력은 낮은 편 (일본산 약 8.5만 원)

    또한 일본은 연 77만t 수입 쌀 무관세 혜택을 운영 중인데,
    그 대부분은 미국·태국·호주산이 차지하고 있어 한국산은 틈새 수요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.

    전문가 코멘트:

    “한국은 과잉 생산 구조라 수출은 일시적일 뿐. 감산 정책은 불가피하다.”
    –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


    📊 한국과 일본의 쌀 시장 비교

    항목 일본 한국
    2022년 쌀 재고율 12% 34.7%
    1인당 연간 소비량 약 51kg 약 55.8kg
    주요 소비 요인 초밥, 오니기리, 도시락 김치찌개, 밥 중심 감소
    최근 변화 수요↑, 공급↓, 가격 폭등 소비↓, 공급↑, 가격 압력

    ✅ 마무리 요약

    “일본은 쌀이 부족해 수입하고, 한국은 쌀이 남아 가격이 걱정이다.”
    두 나라의 상황은 정반대지만, 쌀 산업의 구조적인 문제와 정책 대응의 중요성을 보여준다.
    한국산 쌀 수출이 구조적인 해결책이 되려면, 단순 수출을 넘어 해외 시장 개척 전략과 품질 브랜딩이 동시에 필요하다.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