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2025년 근로자의날 근무수당 총정리
    카테고리 없음 2025. 4. 20. 23:56
    반응형

    📌 2025 근로자의날 근무수당 총정리

    “쉬어도 돈, 일하면 더 많은 돈!”
    근로자의 날, 무조건 기억해야 할 수당 계산법


    💡 근로자의날, 쉬는 날 맞나요?

     

    내용 내용
    📅 날짜 2025년 5월 1일 (목요일)
    📘 법적 근거 「근로자의날 제정에 관한 법률」 제정 휴일
    ✅ 유급휴일 해당 여부 근로자에겐 유급휴일, 공무원은 해당 없음
    🚫 공휴일과 차이 공휴일(X), 근로자만 대상인 특별한 휴일(O)

     


    📌 근로자의날 수당, 어떻게 지급될까?

    ✅ 사업장 규모 & 급여형태별 수당 정리

    사업장 급여형태 휴무 시 근무 시
    5인 이상 월급제 유급 포함 (월급에 포함) 통상임금의 150%
    연장근로 시 200%
    5인 이상 시급제 유급 100% 8시간: 유급 100% + 시급 150%
    초과: 시급 200%
    5인 미만 월급제 유급 포함 1일분만 지급 (가산 없음)
    5인 미만 시급제 유급 100% 유급 100% + 시급 100%

     


    💰 근로자의날 수당 계산 예시

     

    조건 계산 방식결과 결과
    📌 시급 10,000원 / 하루 8시간 기준 통상임금 = 80,000원 -
    5인 이상 / 월급제 80,000 × 150% 120,000원
    5인 이상 / 시급제 / 10시간 근무 유급 80,000 + (8×1.5×10,000) + (2×2×10,000) 240,000원
    5인 미만 / 시급제 / 10시간 근무 유급 80,000 + 근무 100,000 180,000원

    👨‍⚕️ 공공기관·병원·어린이집 운영 여부


     

    구분 운영 여부
    공무원 출근 (유급휴일 아님)
    은행 대부분 휴무 (은행연합회 공지 참고)
    어린이집 일부 지자체만 운영 (사전 확인 필요)
    병원 응급실 운영, 외래는 병원별 상이


    ❓자주 묻는 질문 (Q&A)

    Q. 월급제인데 근무수당 안 줘도 되나요?
    👉 월급에 휴일 수당 포함되지만, 근무 시엔 가산 수당 지급 필수!

    Q. 5인 미만이면 무조건 수당 안 줘도 되나요?
    👉 아니요! 기본 수당은 지급, 단 가산 수당은 제외됨.

    Q. 공무원도 쉴 수 있나요?
    👉 안 됩니다. 공무원은 근로자의날 해당되지 않아 정상 출근합니다.


    📣 미지급 시 신고는 이렇게!


     

    방법 내용
    📞 전화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1350 (무료)
    💻 온라인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→ 민원 신청 → 임금체불 신고
    📑 준비 자료 근무일자, 사업장명, 급여내역 증빙서류

    ✅ 마무리 요약

    • 근로자의날은 유급휴일, 쉬어도 돈, 일하면 더 많이 받는 날!
    • 사업장 규모·급여 방식에 따라 지급 기준이 다르니 미리 체크 필수
    • 수당 미지급 시, 1350 신고 가능
    • 공무원·은행·병원 등 기관별 운영 여부도 꼭 확인하세요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