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"6년 3개월 만에 최고치"…은행 연체율 상승, 무슨 일이?
    카테고리 없음 2025. 4. 27. 01:53
    반응형

    최근 국내 은행권의 대출 연체율이 크게 올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
    특히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전체 금융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는데요.
   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?

    📈 은행 연체율,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

    금융감독원에 따르면,
    2025년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**0.58%**로 집계됐습니다.
    이는 2018년 11월(0.60%) 이후 무려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.

    • 전월 대비 0.05%포인트 상승
    • 신규 연체 발생은 감소했지만, 연체채권 정리 규모 증가로 오히려 연체율 상승

    👉 신규 연체는 줄었는데, 기존 연체 채권 관리가 잘 안 되면서 연체율이 높아진 상황입니다.


    📌 누가 연체를 더 많이 하고 있을까?

   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대출입니다.

    구분 연체율 변화폭
    대기업 대출 0.10% +0.05%p
    중소기업 대출 0.84% +0.07%p
    - 중소법인 0.90% +0.08%p
    - 개인사업자 0.76% +0.06%p
    가계대출(전체) 0.43% 거의 변동 없음
    - 주택담보대출 0.29% 유지
    - 신용대출 등 0.89% +0.05%p

    ✅ 핵심 요약:
    중소법인개인사업자 연체가 크게 늘면서 전체 연체율 상승을 견인했습니다.


    🏦 왜 이렇게 연체가 늘었을까?

    • 고금리 지속 → 이자 부담 증가
    • 경기 둔화 →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수익성 악화
    • 소비 위축 → 매출 감소로 상환능력 악화

    👉 결국, 이자 부담은 커지고, 수익은 줄어든 상황이 연체율 급등의 배경입니다.


    🔥 금융당국은 어떻게 대응할까?

    금융감독원은 다음과 같은 대응 방침을 밝혔습니다.

    •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 확보 유도
    • 적극적인 연체채권 정리부실채권 매각 강화
    • 신용위험 확대 대비 체계적인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

    즉, 연체율 상승이 은행 전체 시스템 리스크로 번지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입니다.


    ✅ 요약

    구분 내용
    🚨 2025년 2월 은행권 연체율 0.58% (6년 3개월 만에 최고치)
    🎯 주 원인 중소기업·개인사업자 연체 급증
    🛠️ 대응책 손실흡수력 강화, 부실채권 매각 추진

    ✨ 마무리 한 마디

    "금융시장도 체력 테스트 중입니다."

    고금리와 경기 둔화라는 이중고 속에서
    은행들도, 기업들도 어느 때보다 체력을 시험받고 있는 요즘입니다.

    특히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사장님들은
    자금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할 시기입니다.

    앞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
    자산 방어 전략도 함께 고민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.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